본문 바로가기
경제현황

2025.04.03 한경 글로벌마켓 : 트럼프 관세 폭탄이 미국 국채 금리에 미칠 리스크는?

by 0ver-grow 2025. 4. 3.
반응형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스태그플레이션을 넘어 미국 국채 금리에 미칠 진짜 리스크를 분석하는 영상입니다. 관세 정책이 미국의 무역 적자를 축소시키고, 이는 해외 자본 유입 둔화로 이어져 달러 자산의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특히, 막대한 재정 적자와 국채 발행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해외 자본 유입 둔화는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PIMCO의 CIO는 달러 비중 축소를 언급하며 달러 예외주의 약화 가능성을 제기하고,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전망 하향 또한 불안감을 더합니다. 결국, 관세 정책은 단기적인 물가 상승 외에도 장기적인 자금 조달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1]

1.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와 초기 반응더 자세히더 쉽게00:00:00 (4분)

 
  •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10% 관세와 대미 무역 적자가 큰 약 60개국에 대해 상호 관세를 포함한 관세안을 발표하였다.[1-3]

  • 상호 관세는 보편 관세의 10%를 제외하고, 무역 적자가 큰 국가들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된다.[1-6]

  • 관세 부과를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였고, 보복 시 추가 관세 인상을 포함하는 행정명령을 규정했다.[1-8]

  • 중국에는 기존 34% 상호 관세와 합쳐져 총 67%의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다.[1-14]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다양한 경로로 물가, 환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미국 국채 금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주요 관심사이다.[1-24]

 

2. 📉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경제 리스크더 자세히더 쉽게00:04:17 (4분)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의 국채 금리를 낮추려는 목표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이 논의되고 있다.[2-1]

  • 스티븐 블리츠는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뿐 아니라, 글로벌 자본 유입에 중대한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2-7]

  • 관세 도입으로 인해 외국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에 대한 선호도를 낮추고, 이는 미국 국채의 금리를 높일 수 있다는 심리적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2-9]

  • 무역적자는 미국이 달러 강세 유지를 통해 저렴한 수입으로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고 소비를 증가시키려 한 선택의 결과로, 이는 미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2-14]

  • 코로나19 이후, 미국은 고물가 사이클에 진입했고, 이는 관세 도입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킬 것임을 시사한다.[2-22]

 

3. 📉 무역 적자 축소에 따른 자본 유입 둔화 리스크더 자세히더 쉽게00:08:23 (3분)

 
  • 관세 부과 시 무역 적자가 축소되며 미국의 수입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해외 자본의 유입도 둔화될 수 있다.[3-2]

  • 무역 적자 축소는 미국 국채 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국채의 공급 증가와 해외 자금 유입 둔화가 맞물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5]

  • 미국의 재정적자는 GDP의 6%를 넘으며, 이를 충당하기 위한 해외 자본 유입이 필요하지만 관세로 인해 자금 유입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3-8]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와 별개로 자금 조달 리스크가 간과되고 있으며, 기존 미국 국채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지위가 불확실해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3-11]

  • 트럼프 정부는 국채 수요 확보를 위한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관세 강매, 은행 규제 완화, 양적 완화 전환 등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3-15]

 

4. 📉 트럼프 관세와 달러 자산 리스크더 자세히더 쉽게00:12:15 (4분)

 
  •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적자 축소 플랜만으로는 상당한 부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4-1]

  • 스티븐 블리츠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은 크지 않다고 보지만, 단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소비 둔화가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한다.[4-2]

  • 달러 약세는 해외 투자자들 사이에서 달러 자산에 대한 수요를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국채와 증시에서도 리스크 프리미엄 상승이 우려된다.[4-4]

  • 미국 국채 금리는 단기적으로 4% 밑으로 떨어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베어 스티프닝 현상으로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있다.[4-7]

  • 골드만삭스는 26년에는 재정적자로 인해 국채 금리가 다시 상승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계획과 관련이 있다.[4-21]

 

5. 📉 트럼프 정부의 세금 감면 정책과 재정적자더 자세히더 쉽게00:16:59 (2분)

 
  • 트럼프 정부는 15만 달러 미만 소득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과 여러 감세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국채를 추가로 발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5-1]

  • 월가는 트럼프 정부의 효율성 제고와 낭비성 지출 삭감 주장이 회의적이며, 이로 인해 민간 생산성 제고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는 낮다.[5-2]

  •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경우, 결국은 부양을 위해 또 다시 국채를 찍어내야 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5-3]

  • 관세 수입과 지출 감소로는 재정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이로 인해 재정적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5-5]

  • 특히, 이미 시행된 감세 법안을 연장하는 것만으로도 재정적자가 10년 뒤 4조 6천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5-6]

 

6. 📉 달러와 미국채에 대한 약화된 수요더 자세히더 쉽게00:19:05 (3분)

 
  • 자금 조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해외에서 국채를 사줄 수요가 약해지므로, 금리는 다시 오를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6-1]

  • 코로나로 인해 미국의 재정적자가 크게 증가했으며, 달러 자산 동결로 달러에 대한 회의론이 지속적으로 존재해왔다. [6-3]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달러 예외주의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PIMCO의 CIO도 이러한 우려를 밝혔다. [6-6]

  • 금과 엔화와 같은 안전자산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달러보다 더욱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6-14]

  • 무디스는 미국의 재정건전성이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6-19]

 

7. 📉 미국 국가 신용등급 하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더 자세히더 쉽게00:22:43 (3분)

 
  •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하향되면 국채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7-1]

  • 2023년 8월, 피치가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을 때 10년 물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 [7-3]

  • 미국의 투자 심리가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동맹국들 사이에서 투자 의향이 줄어들고 있다. [7-5]

  • 이러한 소프트 파워의 약화는 국채 수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국채 금리가 낮아지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7-11]

  • 미국의 금리가 다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의 저금리 시대는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7-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