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현황

2025.03.31 미증시 : 미국 증시 급락 (관세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기술주 하락)

by 0ver-grow 2025. 3. 31.
반응형

2025년 3월 31일 미국 증시 급락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세 정책 불확실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를 냉각시키고 글로벌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369.
    •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기준 올해 1분기
      •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연초 대비 4.90% 하락한 5580.94
      • 나스닥종합주가지수는 10.15% 급락한 1만7322.99
      • 1분기 중 고점대비 하락률
        • S&P500이 -9.17%, 나스닥이 -13.63%
  • 인플레이션 및 경기침체 우려: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와 3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시장 예상보다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었습니48.
  • 기술주 중심의 하락: 대형 기술주들이 고평가 논란 속에서 큰 낙폭을 기록하며 나스닥 지수가 2.70% 하락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2.95% 떨어졌습니다47
  • 기타 우려
    • 블룸버그 등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에 15개국,10개국 등 일부 국가에 상호 관세가 부과되지 않고 “모든 국가”에게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철강·알루미늄과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시행이 확정
    •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규모에 따라 2~3년내 미국 GDP는 4% 감소하고 물가는 2.5%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추산
    • 골드만 삭스는 올해 트럼프의 경제 정책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상승하고 경제는 침체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의 경제학자들은 지난 달 20%로 예상했던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을 35%로 다시 상향했다.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가 올해 금리를 두 번 인하할 것이라는 종전 예측에서 세 번 인하로 전망을 수정했다.
    • 제프리스의 전략가 모히트 쿠마르는 “가장 부정적인 시나리오는 4월 2일이 협상의 시작점일 뿐이며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라면서 관세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지적
    • 관세 관련 공포로 S&P 500은 2022년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했다. 2월 19일의 최고치에서 약 5조 달러의 가치가 증발했다. 관세가 미국 경제에 타격을 주기 시작한다는 징후가 분명해지면서 미국 소비자 심리가 급락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급등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등 주요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반응형